바이오스화면 들어가면 부팅순서에 나오는 Windows Boot Manager(윈도우부트매니저)는 무엇인가?


바이오스 화면에 들어가서 부팅순서에 보면 1번째로 windows boot manager(윈도우 부트 매니저)로 선택되어 있는게 보인다면 uefi형태의 바이오스가 나오면서 생겨난 것으로 바이오스에서 CMS항목을 레거시로 설정하지 않고 UEFI 방식으로 설정한 후에 윈도우를 GPT(guid partition table)로 설치하게 되면 생기는 것으로,
디스크관리자의 파티션 구조에서 확인해 보자면 EFI 파티션이 존재하게 되며 이 부분에서 부트로더가 실행되어 윈도우를 구동하게 됩니다.
부팅순서를 찾거나 변경할 때에는 바이오스화면의 보안메뉴에 있는 secure boot 항목이 비활성화 되어 있어야 할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부트로더(boot loader)란?
부트로더는 운영체제가 시동되기 전에 실행되어 커널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입니다. 부트로더는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커널을 압축해제하고 부팅옵션을 선택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부트로더는 MBR이나 UEfI 같은 부팅 방식에 따라 다르게 작동 할 수 있습니다.
BIOS->1차부트로더->2차 부트로더->커널->운영체제
1차 부트로더:MBR,PBR
2차 부트로더:GRUB(윈도우, 리눅스), SYSLINUX(리눅스), LILO(리눅스), BOOTMGR(윈도우), NTLDR(윈도우)
EFI파티션 외에 실제 윈도우(운영체제)가 들어있는 파티션(보통 C: 드라이브)도 당연히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바이오스에서 UEFI로 설정했다면 부팅순서를 선택할 때는 이 windows boot manager(윈도우 부트 매니저)가 우선적으로 선택되어 있어야 부팅이 정상적으로 될겁니다.
바이오스 화면에서 CSM설정을 레거시(legacy)로 설정한 후에 하드디스크에 MBR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윈도우 부트 매니저(windows boot manager)라는 것이 생기지 않습니다.
'컴퓨터 수리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날짜가 초기화 되었을 때 생기는 문제 및 조치방법(바이오스 배터리 확인 등) (1) | 2023.05.27 |
---|---|
컴퓨터(pc) 먼지 청소하는 방법(먼지 청소시 주의 할 점) (4) | 2023.05.08 |
메인보드 스피커(speaker) 비프음(beep)에 따른 고장증상 찾는 방법(바이오스 비프음설정) (0) | 2023.02.10 |
DP케이블(display port,디스플레이포트) 잘못 연결하면 모니터 고장날수있어여(가정용,산업용, 연결시 주의사항) (0) | 2023.02.06 |
부팅용 usb 인식 안될 때 uefi,legacy확인/msinfo32로 하드웨어 정보 확인하기 (3)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