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케이블(display port,디스플레이포트) 잘못 연결하면 모니터 고장날수있어여(가정용,산업용, 연결시 주의사항)

컴퓨터 수리기술|2023. 2. 6. 19:38
반응형

DP모니터 케이블은 2016년 정도부터 대중화된 모니터에 달린 단자인데 기존에는 RGB케이블, DVI케이블에서 HDMI케이블이 나오더니 지금은 DP케이블까지 흔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위쪽 단자가 DVI단자, 아래쪽 좌측이 HDMI단자, 아래 우측이 DP단자입니다

 

좀 떨어져서 보면 구분이 잘 안 될 수도 있는데 가까이 보면 HDMI는 좌우대칭,우측의 dp단자는 좌우 비대칭 모양입니다.

 

이 케이블은 HDMI 케이블로 HDMI에 연결해야 되고

 

이 케이블은 DP(디스플레이포트)케이블이니 DP단자에 연결하는 겁니다.

 

근데 이 DP케이블을 연결할 때는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그림에 자세히 보면 위쪽에 버튼같이 생긴 것이 보일겁니다. 연결할 때는 기냥 연결을 해도 되지만 분리를 할 때는 위쪽의 볼록한 부분을 누르고 분리를 해야 잘 빠집니다.

 

모니터나 pc에 달려있다면 이 버튼이 아래쪽에 위치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기냥 분리하다가 나도 모르게 버튼이 눌러져서 잘 빠질수도 있지만 어느날 인가는 이 버튼 부분을 누르지 않고 분리를 했는데 잘 안빠진다면 당연히 걸림장치가 있어서 안빠지는 것입니다. 모르고 강제로 분리하다가 케이블이나 단자를 파손해서는 안됩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이 버튼을 누르고도 잘 빠지지 않으면 버튼을 누른 채로 안쪽으로 좀 밀어 넣었다가 빼라고 되어 있습니다.

 

아무튼 이 DP(display port)케이블은 걸림장치가 있어 연결한 상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지만 분리하면서 잘못해서 모니터나 pc의 단자를 고장 낼수도 있는 단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HDMI케이블과 DP케이블의 또 다른 차이는 HDMI는 가정용으로 개발된 포트라서 영상과 사운드 전송이 가능한 반면에 dp케이블은 모니터 전용으로 만들어져서 영상만 전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기기에 따라서는 DP케이블도 사운드를 전달 할 수 있다고도 하니, 처음에 소리가 잘 들리던 DP케이블 이라면 소프트웨어적인 설정과 관련하여 문제가 생긴 것 일수 있으니 설정 부분을 교정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dp 1.2버전: 최대해상도 4K해상도(8백만화소)에서 60Hz까지 출력이 되고, FHD해상도(2백만화소)에서는 최대144hz 까지 출력이 되어 144hz출력이 지원되는 모니터에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dp케이블은 hdmi에 비해 그냥 연결하면 될 것 같지만, 제조사에 따라서 호환성 특성을 많이 타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모니터 구입시 같이 따라온 dp케이블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무dp케이블을 쓰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DP케이블은 산업용케이블과 가정용(일반적인 모니터와 pc연결)케이블이 있다고 합니다.

 

산업용 DP케이블에는 20개의 핀 배열중(위쪽의 dp케이블 그림참고) 20번핀이 전압과 관련 되 있어 산업용 dp케이블을 모니터와 그래픽카드에 연결하게 되면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산업용 규격을 모르고 구입해서 집에서 연결해서 사용하게 되면 안 되는 것입니다.

 

만약에 이 산업용 규격을 모니터에 사용하게 되면 모니터에 줄이 생기거나 모니터 깜박임, 또는 모니터가 갑자기 나갔다가 들어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dp케이블의 20번 단자를 테스터기로 통전 테스트를 해서 확인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dp케이블의 20번 핀을 사용 안되게 해서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 아주 간단치는 않고 잘못하면 모니터까지 고장날수도 있다고 하니 손재주가 있어서 직접 해보실 분들은 유투브 등을 참고해보시면 될 겁니다.

 

모니터에 단자가 여러 개이며 PC에도 여러 개의 모니터 단자가 있다면 구형 케이블을 사용하던 신형케이블을 사용하던 화면은 나오겠지만 신형을 사용 하는편이 좋습니다.

 

하지만 먼저 확인할 것이 모니터에 있는 단자에는 RGB(D-sub)DVI만 있고, PC의 단자에는 RGB,DVI,HDMI 이렇게 세개의 단자가 있고 모니터 하나만 쓴다면 rgbdvi중에 DVI케이블을 사용하셔서 연결하시면 됩니다.

(집에 있는 케이블이 rgb밖에 없다면 rgb로 쓰셔도 됩니다.)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으면 굳이 비싼 HDMI젠더등을 별도로 구입 연결할 이유는 없습니다.

 

여기서 케이블 연결시 주의할 사항이 있는데 단자를 연결할 때는 항상 방향이 있으니 그 방향을 확인하고 연결해야 합니다.

 

모니터 케이블을 연결할 때는 pc나 모니터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로 연결 해도 되지만 단자를 반대로 해서 강제로 무리한 힘을 주거나 할 경우에는 접촉 불량 등 전자제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전자제품은 케이스를 열어보면 PCB(기판)가 있는데 전원케이블만 연결이 되어 있어도 약한 DC(직류)전기(대기전력)라도 흐르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