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카메라 해상도, 녹화기 저장공간 등)
CCTV(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은 보안, 감시, 모니터링을 위해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존 CCTV 시스템은 더 이상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화면 해상도, 녹화 기능, 카메라 성능 등이 업그레이드 되지 않았다면, 보안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CCTV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케이블, 카메라, 녹화기, 화면 해상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CCTV 케이블 업그레이드: 구형 RCA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RCA케이블로 구형 cctv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요즘은 아날로그용 카메라는 BNC케이블, ip카메라는 랜케이블(pc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케이블과 동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메라 케이블은 녹화기와 카메라를 연결하여 영상자료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좋은 것으로 할 이유는 없을 테고, 카메라의 화질을 좋게 업그레이드 하거나 할 경우에 구형 RCA케이블을 지원하는 카메라가 나오지 않는 추세이므로 케이블도 함께 자동으로 해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BNC영상, 전원용 케이블인데 노란색 부분이 영상신호 전달용으로 BNC케이블 이라고 하며, 자세히 보면 이 영상쪽이 RCA 케이블과 모양이 완전 다릅니다.
*참고로 빨간색은 전원케이블 입니다. 좌측이 녹화기 부근에 있는 전원 어댑터쪽으로 가야하고, 우측은 카메라쪽으로 가는 부분으로 잘 모르겠다면 케이블 시공을 하기 전에 카메라와 녹화기의 전원 케이블을 맞추어 본 후에 시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케이블 방향을 반대로 연결하여 시공한 경우에는 케이블을 다시 떼어내야 하므로 엄청나게 번거로운 작업이 될수 있습니다
영상은 녹화기쪽이나 카메라쪽 동일한 모양이니 전원부분만 잘 확인을 하면 되는겁니다.
유투브 영상을 여러개 보았다고 해서 cctv셀프 업그레이드 하다가 먼가 하나에 막히게 되면 며칠간 고생할 수가 있습니다.

ip카메라용 랜케이블로 pc와 공유기에서 사용하는 일반 랜케이블과 동일한 케이블 입니다. cctv에는 보통 cat5e를 사용합니다. Cat6이상(cat5e보다 가격이 비쌈)을 써도 되지만 가격 비싼 것을 써도 미세한 차이밖에 없습니다.
랜선이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옥외용으로 써야 케이블을 오래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기존에 이런RCA케이블을 사용한다면 기간이 꽤 흐른 cctv이며, 구형RCA케이블을 교체할 때는 아마 해상도 또한 200만화소(50만 또는 130만 화소 등) 이하여서 녹화기와 카메라를 함께 교체해야 호환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CCTV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케이블입니다. 케이블은 카메라와 녹화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케이블의 품질과 종류는 시스템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CCTV 카메라 업그레이드: 카메라 해상도가 200만 화소 이하인 130만화소 등을 사용시
카메라 모델을 인터넷에 검색하여 해상도가 낮은지 확인을 하거나 cctv영상을 보기만 하여도 화면이 선명하지 못한 것이 눈에 띌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카메라를 업그레이드 하게 됩니다.
구형 카메라는 720p(130만 화소) 이하의 해상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영상의 세부 사항을 명확히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1080p(200만 화소) 또는 그 이상의 해상도로 카메라를 업그레이드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녹화기가 200만화소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해야 하며, 가능하면 녹화기와 카메라의 제조사를 일치시켜서 구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론상으로는 맞더라도 간혹 제조사간의 특성을 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상도를 400만 화소 이상으로 높이는 방법(이 경우에는 녹화기에서 400만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해야 하며, 200만 화소용 녹화기로는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도 있지만 200만 화소에 비해 영상의 크기가 두배로 증가하여 저장공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으니 고려하기 바랍니다.

[200만 화소(1920X1080) 해상도 사양]
3.야간 감시기능 업그레이드
적외선(IR) 기능이 부족한 카메라는 어두운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로 야간에 모니터링을 해야하는 카메라의 용도에서는 적외선 기능이 특히 중요하므로 카메라 사양에서 IR의 개수가 많고 적외선 알이 굵은 것일수록 야간 모니터링을 선명하게 할 수 있는 방법 입니다.
요즘은 야간칼라 기능을 지원하는 카메라도 나오기 있기 때문에 야간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일반적인 적외선 카메라에 비해 가격이 올라갈 수가 있으므로 적절한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4.녹화기(DVR/NVR) 업그레이드: 저장공간이 더 필요한 경우, 카메라 해상도 등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를 업그레이드 할 경우에는 녹화기쪽도 꼭 함께 확인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카메라의 해상도를 200만화소에서 400만 화소로 해상도를 높일 경우 기존의 녹화기가 400만 화소를 지원하는가?, 그리고 저장공간은 적절한가?
->카메라의 화질(해상도)을 200만에서 400만으로 두배 높이게 되면 고화질 영상이 가능하지만 높은 해상도일수로 저장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영상녹화 일수가 기존에 30일 보관됬다면 15일로 절반정도 녹화저장 일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저장공간도 함께 생각해야 합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녹화기가 200만 화소까지 지원이 됬다면 400만 화소의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400만화소 지원이 가능한 녹화기로 교체를 해야 합니다.
b)카메라의 개수가 기존에는 4개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3개를 추가(총7개의 카메라 사용시)한 경우에 녹화기가 8채널이상의 녹화기를 사용중인가?
->녹화기 채널은 보통 4채널,8채널,16채널 식으로 판매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5개의 카메라를 달아서 사용을 하더라도 8채널 녹화기를 구입해야 됩니다.

[좌측모델은 4채널로 카메라를 4대까지 연결가능하며,우측은 8채널로 카메라를 최대 8대까지 연결가능함]
c)기존에 사용하는 카메라가 3개여서 저장공간하드가 2테라를 사용하고 있는데 카메라를 6개로 추가를 하게 되면 저장공간을 늘리지 않아도 되는가?
->저장공간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카메라가 3개일 때 20일 정도 영상이 저장 됬다면 6개로 두배가 늘어났다면 10일 정도만 보관이 되므로, 하드디스크를 4테라로 업그레이드 한다면 기존처럼 20일 보관이 가능하게 됩니다.
녹화기는 CCTV 시스템의 두뇌 역할을 합니다.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녹화기의 성능은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Cctv 하드를 선택할 때는 cctv전용하드인지와 용량이 어느정도 인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1개~4개인 경우는 1테라 하드를, 5-8개 사이는 2테라나 4테라를 사용합니다.
카메라가 4개를 사용하더라도 상시녹화로 1달정도를 보관하려면 4테라 정도를 사용하게 됩니다.
하드디스크를 업그레이드 할 때 주의사항은 녹화기에서 지원가능한 최대 용량과 하드디스크를 몇개까지 장착 가능한가 입니다. 일반적인 녹화기의 경우는 4테라나 6테라가 최대 저장공간으로 하드디스크 연결은 1개까지만 되어 있습니다.
카메라는 10대 정도를 사용하며 움직임감시가 아닌 상시녹화로 30일 이상의 영상을 보관하고자 한다면 6테라로도 부족할 수 있으므로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녹화기를 먼저 선택해야 합니다.
->하드디스크를 2개까지 장착가능한 하드 또는 하나의 하드만 장착가능하지만 8테라 정도까지 지원하는 녹화기 등
Cctv 설치가 필수인 시설에서는 상시녹화에 저장기간이 30일 이상 이렇게 규정이 정해진 경우도 있기 때문에 녹화기 구입시에 저장공간을 충분히 확보해 두지 않게 되면 녹화기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제품 사양을 보면 4TB(테라바이트)가 최대 저장공간으로 4TBX1은 한 개의 하드만 장착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압축방식의 경우는 H.264 -> H.265로 H.264보다 더 많은 영상 압축방식을 사용하여 저장공간을 절약할 수가 있습니다.
*H.264와 H.265 비교
- H.264: 2003년에 개발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는 표준 코덱입니다
- H.265: 2013년에 개발되었으며, H.264보다 향상된 압축 효율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코덱입니다
- 저장 공간의 효율성: H.265는 H.264에 비해 약 40% 더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여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더 작은 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저장 공간을 절약하고 대역폭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화질: H.265는 H.264와 비교하여 동일한 비트 전송률에서 더 높은 화질을 제공합니다. 즉, 동일한 용량으로 더 선명하고 디테일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5.업그레이드시 추가 고려사항
-호환성 확인:새로운 카메라, 녹화기, 케이블 등이 기존 시스템과 호환되는지 확인합니다.
-원격 모니터링 설정: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원한다면 스마트폰의 어플설치를 통한 모니터링 지원이나 컴퓨터의 웹모니터링을 통한 기능을 지원하는 녹화기를 선택합니다.
-그밖에 카메라의 줌기능이나 자동차번호판 식별 기능 등 특수한 기능이 필요할 경우에는 구입예산에 맞추어 상황에 맞는 cctv를 선택하면 될 거 같습니다
'네트워크 및 CC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카메라 장거리 전송을 위한 증폭기 (0) | 2025.04.05 |
---|---|
용도에 맞는 Cctv 녹화기와 카메라 선택하는 방법 (1) | 2024.12.11 |
전기가 안들어오는 단자함에 공유기 설치하는 방법(POE어댑터 이용) (0) | 2024.11.30 |
cctv공사 방법(케이블 벽면몰딩,천정높은곳 카메라 설치시,실내에서 외부로 케이블배선시) (7) | 2024.08.01 |
Cctv카메라 설치할 때 적정 높이는? (2) | 2024.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