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intel) 12세대(엘더레이크) 조립방법, 메인보드 및 cpu 호환 설명
intel 12세대 cpu의 경우 메인보드 소켓은 LGA1700울 사용하는 메인보드와 호환됩니다.
모바일용, 저전력용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인 데스크톱용 컴퓨터를 기준으로 설명을 정리하겠습니다
12세대(엘더레이크),
메인보드 소켓: 1700소켓
호환 메인보드 [H610,H660, B660, Z690] 등의 600번대 모델들이 호환된다고 합니다.
모델명이 H로 시작하면 보급형, B로 시작하면 중급형,Z로 시작하면 고급형 보드로 사무용인 i3 이라면 보급형H보드를 하이엔드급 게임용이라면 Z 보드를 주로 사용하는게 일반적입니다.
CPU명칭: [i9 12900,i9 12900KF/i7-12700,i7-12700F/i5 12400,i5 12400F/i3 12100,i3 12100F] 등
메모리(RAM): 12세대 메인보드라도 DDR4를 지원하는 것과 DDR5를 지원하는 종류가 있으니 호환되는 메인보드 선택시 주의 바랍니다.
출시년도: 22년 1분기 정도부터 출시
*cpu모델 선택시 주의사항(이건 기존 인텔 메인보드(intel motherboard) 호환 관련 글에서도 자세히 적어두긴 했지만 모르는 분들도 많이 있을테니 다시한번 강조합니다.)
숫자 뒤에 K가 붙은건 성능이 좀 향상된 것으로 가격이 좀더 나가고,F(fabric의 약자)가 붙은 모델은 cpu에서 내장그래픽 지원을 안하기때문에 반드시 외장 그래픽을 사용하셔야 모니터로 출력된 글자가 나오게 됩니다.
메인보드에 그래픽카드 슬롯이 있어도, cpu모델명에 F가 붙은 모델을 사서 모니터 연결을 하더라도 화면에 글자가 출력되지 않게 됩니다.
(AMD cpu의 경우는 cpu 모델명에 G가 붙은 모델이 내장그래픽이 있는 모델입니다.)
인텔 세대별 메인보드 호환 참고하실 분들은 아래링크에 내용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khjj12/222055453174
보통 게임용으로 구입하시는 분들은 보통 외장그래픽을 사용하므로 cpu 구입시 가격이 조금이라두 싼 제품을 고르겠다면 F 들어간 cpu모델을 구입하기도 합니다. 외장그래픽을 연결하게 되면 내장그래픽은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어 모니터케이블을 외장그래픽에 연결을 해야 합니다.
게임용은 아니고 유투브나 검색 등 사무용으로 구입하는 경우는 외장그래픽이 없이 보통 내장그래픽으로 사용을 하니 F가 없는 12세대 i3 또는 12세대 i5 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데스크톱용 cpu 외에 노트북용 모델 관련 내용은 등은 검색포털 등에서 [나무위키 인텔12세대] 이렇게 검색하면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12세대 cpu중 중급게임용(미드엔드급)으로 사용되며 내장그래픽이 없는 모델인 i5-12400F 모델을 살펴보겠습니다.
6코어,12쓰레드,최대클럭 4.4GHz,내장그래픽 미지원 모델입니다.
이번엔 메인보드중 중급게임용 모델인 [Asus prime B660M-A D4] 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전체적인 모양과 구성된 부속품을 설명하겠습니다

1.메모리 슬롯은 DDR4용으로 최대 4개까지 장착이 가능합니다
2.NVME슬롯이 2개가 있고 위쪽에 있는 것은 방열판이 있어서 방열판을 열면 테이프가 있는데 테이프는 떼낸후 ssd를 장착하시면 되겠습니다.
NVME는 pcie4.0을 지원하며 규격은 2280(ssd의 가로세로 규격이 22mmX80mm 라는 의미이며 노트북의 경우에는 2240 처럼 길이가 짧은 nvme용 ssd종류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입니다.
3.cpu 장착하는 부분의 소켓은 12세대로 1700 socket 입니다.
4.인터넷연결 부분은 1G Ethernet로 예전의 8-9년 이상된 구형노트북이나 데스크톱의 경우 간혹 100메가인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최근에는 기가랜이 기본으로 나옵니다. 랜카드가 100메가인 구형 노트북의 경우는 usb형태의 작은 랜카드를 1G 짜리를 구입해서 상시 연결하는 방법도 있긴합니다.
5.모니터 연결부분은 1개의 display 포트(DP포트라고도 함)와, 2개의 HDMI포트가 있습니다.
(cpu가 내장그래픽을 지원하는 모델이면 여기에 연결하시면 되고, 지원안하는 모델은 외장그래픽에 있는 단자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6.외장그래픽 연결 슬롯으로 pcie4.0 1개, pcie3.0 2개 있습니다
7.ps/2 combo 포트에는 동그란 모양의 마우스나 키보드를 연결하는 포트입니다.
(최근에는 usb형태의 마우스나 키보드로 나오긴 합니다. )
*예시의 메인보드로 조립시 부품호환 설명 참고
모델명에서 D4가 DDR4용으로 나온 제품이니 메모리도 모델에 맞추어 DDR4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DDR4가 아닌 메모리는 규격이 맞지 않아서 장착이 불가능합니다.)
메모리는 3200을 지원하는 DDR4로 보통 선택을 하며,하드는 NVME를 지원하는 ssd를 구입하거나 좀 싼것으로 구입한다면 2.5인치 ssd를 구입하기도 합니다.
예제의 메인보드 모델은 NVME용 슬롯이 있으므로 NVME용 ssd 장착도 가능합니다.
M.2 NVME ssd는 가격이 좀더 비산대신 기존의 2.5인치 직사각형 ssd보다 속도가 좀더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ssd 용량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250G나 500G기가를 선택합니다.
영화나 영상을 많이 사용한다면 250G ssd와 일반3.5인치 1테라 또는 2테라 하드를 구입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의 안정성을 중요시한다면 가격은 좀더 나가더라고 삼성이나 sk하이닉스 제품의 ssd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파워는 보통 그래픽카드를 어떤 것을 구입하느냐에 따라서 적절한 용량을 구입하지만 일반적으로 외장그래픽이 없는 사무용은 300w-400w 의 정격용량을, 외장그래픽이라면 500w-700w 사이의 규격을 고르게 됩니다.
그래픽카드 사양에 보면 권장 파워도 나와있어서 몇 와트 이상의 파워를 사야하는지도 나와있습니다.
하이엔드급의 고사양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pc에 사무용 파워를 사용한다면 첨부터 작동에 문제가 생기거나 일시적으로는 잘 돌아가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어느 순간 파워가 고장날수 있으면,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 등의 고가 부품까지 함께 불량이 기도 합니다.
데스크톱용의 파워서플라이크기는 보통 ATX규격을 많이 사용하며 케이스는 미들타워나 좀더 큰 빅타워 케이스와 호환됩니다.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는 슬림형케이스에는 LP형파워 ,TFX형 파워를 미들타워보다 약간 작은 미니타워 케이스의 경우는 m-ATX파워(ATX파워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약간 작습니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슬림형 케이스등 작은 케이스의 경우는 발열에 취약하여 잦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어서 보통 조립추천을 하지는 않습니다.
'컴퓨터 수리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메인보드에 내장그래픽없는 cpu,구형 그래픽카드 연결했는데 모니터에 인식안될때 원인과 해결방법(구형그래픽카드 uefi로 업데이트하기) (0) | 2022.02.16 |
---|---|
메인보드에 메모리 추가나 교체할 때 DDR4 호환된다고 아무램이나 고르지 말자(특히 3200mhz 최신램) (0) | 2022.02.06 |
윈도우10 포맷없이 C드라이브(윈도우 영역)에 파티션 나누는 방법(하드 partition 분할) (0) | 2021.09.29 |
컴퓨터(pc) 업그레이드(upgrade)시 주의사항(ram,vga card, cpu, ssd) (0) | 2021.09.19 |
컴퓨터의 소음(noise)발생 원인과 해결방법(cpu쿨러,케이스쿨러,파워쿨러,그래픽쿨러 등)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