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컴퓨터의 인터넷 속도 확인방법
일반적인 소규모 사무실이나 가정집의 인터넷 구조는 약간 다를수도 있지만 대개는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단자함->방의 랜포트->공유기->컴퓨터 중간중간은 인터넷선(랜선)으로 연결되어있을 것입니다
보통 인터넷속도는 100M,500M,1G(기가랜) 가 통신사에서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이중에 집에 500M 속도가 단자함에 메인으로 들어오는데 중간 중간에 사용되는 랜선이 500메가를 지원하는가?, 공유기가 500메가를 지원하는가?,컴퓨터의 랜카드가 500메가를 지원하는가? 를 확인해야 실제 통신사에서 들어오는 속도의 인터넷을 알맞게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인터넷은 속도에 따라 가격도 차이가 나며 자신이 사용하는 랜선이나 공유기나 컴퓨터에 필요한 속도에 맞추어 인터넷 속도를 사용하면 되니 무조건 높은 속도를 쓸 필요는 없으며, 빠른 속도를 써도 지원이 안되는 환경이라면 불필요하게 통신비만 낭비하게 될수 있습니다
-먼저 통신사에 신청한 인터넷 속도는 최초 신청할 때 알수 있지만 나중에 콜센터로 물어보면 확인이 됩니다. 100메가인지,500메가인지,1기가인지
-이번에는 랜선(utp케이블이라고도 함)의 종류가 지원되는 인터넷 속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선에 영어로 아래와 같은 영어가 적혀 있어서 선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CAT5 : 전송속도 100Mbps
CAT5E : 전송속도 1Gbps
CAT6(6E) : 전송속도 1Gbps
CAT6A : 전송속도 1Gbps
CAT7 : 전송속도 1Gbps
-공유기 속도는 공유기 모델명으로 검색하거나 하시면 유선속도 100Mbsp 나 1Gbps 이렇게 사양이 표시되어 확인하기 쉽습니다. 이것또한 높은 속도의 공유기가 비싸다고 보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컴퓨터의 랜카드에 지원하는 속도는 [내컴퓨터]에서 우측버튼을 눌러 속성창으로 들어가서 장치관리자화면의 네트워크 어댑터에 [realtek PCIe GBE family controller] 이렇게 써 있으면 기가속도를 지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GBE(Gigabyte Ethernet)의 약자에서 알수 있듯기 기가바이트 이더넷입니다. 기가바이트가 아니고 100M이렇게 써 있거나 하면 100메가까지 속도를 지원하는 겁니다
유선랜은 간단하지만 무선랜속도는 wifi(와이파이)규격이라고 해서 별도로 확인하는 법이 있습니다
무선랜카드 규격을 보면 아래와 같이 최대 전송률을 표시한 것이지 실제 지원되는 속도는 무선랜카드의 규격에 나와 있는걸 확인하시면 됩니다
802.11은 동일하며 끝에 알파벳 숫자만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예를 들어 802.11n 에 100M 로 표시되있다면 100M 속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802.11b : 최대전송률 11Mbps
802.11a : 최대전송률 54Mbps
802.11g : 최대전송률 50Mbps
802.11n : 최대전송률 600Mbps
802.11ac : 최대전송률 6Gbps
802.11ax : 최대전송률 9Gbps
*위 속도는 이론상 수치로 실제 속도 및 체감속도는 컴퓨터 성능등에 따라서도 오차가 날수 있습니다.
또한 유선랜과 무선랜의 속도를 비교하자면 유선랜이 무선보다 빠릅니다. 유선랜 속도가 120M이 나오면 무선은 80-100M 정도 나오게 됩니다. 이것 또한 환경에 따라 오차는 있을수 있습니다
이제 인터넷 속도와 관련된 것들을 대강 파악했다면 실제 이론상 수치를 벤치비사이트 등을 통해
확인해볼수가 있습니다
벤치비 www.benchbee.co.kr 여기로 들어가서 속도측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연시간,다운로드,업로드 속도 가 나옵니다.
아래는 500메가를 사용하는 유선랜 컴퓨터의 속도를 측정한것으로 500메가라 하여 실제 500메가의 수치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지연시간(3.14ms),다운로드(270M),업로드(177M) 로 지연속도는 작을수록 좋고,다운로드와 업로드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네트워크 및 CC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공유기 와이파이(wifi) 설정확인, 로그인비번 분실시 초기화 방법 (0) | 2021.08.16 |
---|---|
공유기와 무선AP(Access Point)의 차이 및 비교 (3) | 2021.04.23 |
온라인게임에 끊김현상이 발생한다면?(대칭과 비대칭 차이) (0) | 2021.03.31 |
랜공사(네트워크공사)에 필요한 물품 및 준비사항 (0) | 2021.03.12 |
윈도우10공유하기 및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정리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