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불량시 나타나는 현상 알아보기(바이오스까지는 잘 나올경우)

컴퓨터 수리기술|2022. 6. 23. 20:34
반응형

cpu불량시 나타나는 현상 알아보기(바이오스까지는 잘 나올경우)

 

인터넷에 보면 cpu 불량 증상시 나타나는 증상이 있지만 바이오스 화면까지는 잘 나오며, 검정색 도스화면의 글자까지도 잘 나오지만 로그인 화면이 나오지 않고 처음부터 다시 부팅을 반복하거나 중간에 멈추어버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증상1) 윈도우PE로 부팅시 하단의 진행바가 일정부분까지 진행하다 멈추거나 재부팅을 반복함

일단 usb를 이용한 윈도우pe부팅으로도 이런 증상이 나오니 윈도우에 이상이 생겼다기 보다는 하드웨어 쪽으루 원인을 찾아보면 되겠습니다.

 

중상2)일반부팅시 바이오스 화면까지도 이상없이 잘 나오지만 부팅중 윈도우 로고의 로딩 화면은 잠간 나오다가 부팅이 진행되야 하지만 계속 동그라미 로딩이 지속이 됩니다.

 

 

- 부팅중 동그라미 로딩이 계속 나오는 경우에 관해

그림처럼 부팅중 윈도우로고 아래에 동그라미 로딩화면이 계속 나오는 경우는 하드웨어가 이상이 생겨서도 발생할수 있는 증상입니다.

 

예를 들어 하드가 2개 달려있는데 윈도우가 설치된 하드는 정상이지만 백업용 보조하드등에 베드섹터 등 이상이 생긴 경우, 메인보드에 이상이 생기거나 메인보드에 달린 각종 장치에 이상이 생긴 경우도 이렇게 동그라미 로딩화면에서 더 이상 진행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또 메모리가 두개인데 그 중 하나가 이상이 생길 때도 이런 증상이 나올 수 있습니다.

 

왜 부팅하는데는 전혀 상관없는 부품에 이상이 생긴건데 저런 화면에서 진행이 안되냐구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윈도우10의 장점은 각종하드웨어를 인식해서 별도의 드라이버를 설치 안하고도 웬만한거는 잘 잡아주는 장점이 있지만 그런 부품들을 인식하지 못하면 그냥 못넘어가거나 하게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7로 출시된 구형 노트북에 윈도우10을 설치해보면 윈도우10에서 노트북에 있는 무선랜카드를 인식 못해서 저렇게 로딩화면이 나오는 경우도 있었는데, 인터넷에서 찾은 글을 보고 노트북을 분리한 후 무선랜카드를 제거하니 윈도우10이 잘 설치된 적도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윈도우7에서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 할 때 무선랜이 인식이 안되는 바람에 윈도우 로고상태에서 먹통이 됬다는 글로 결론은 윈도우10은 인식 안되는 하드웨어가 있거나 하드웨어에 문제가 생기면 부팅시 윈도우로그화면에서 먹통이 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https://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all/%EB%B8%8C%EB%A1%9C%EB%93%9C%EC%BB%B4/554f4f03-4884-45d6-9eb7-87f80a7815f6

 

정밀하게 테스트하려면 꼭 필요한 부품만 남기고 다 분리한후 부팅을 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 것을 누드테스트라고도 합니다.

 

최근에 친구가 윈도우가 고장났다고 본체를 들고 와서 점검을 해보았습니다.

 

cpu4세대 i5-4690 으로 게임용으로 사용하는 pc인데 6-7개월 고장이 나서 중고 메인보드로 교체했다고 하여 얼마 안됬는데 또 고장이 난 것인가?

 

amd cpu는 가끔 고장나기도 하는데 고장이 잘 안나는 인텔 cpu가 진짜로 고장이 난 것인가?

 

유투브에 보면 인텔 cpu고장 난 경우는 잘 나오지 않긴 하지만 나중에 검색해본 결과 이런 동일 증상으로 애 먹었다는 영상도 있기는 합니다.(마침 이 영상에 나오는 cpu도 동일한 i5-4690으로 4세대 인텔cpu라 더 놀랐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tIJfmly1sY

  

하지만 운좋게도 집에 있는 pc4세대 동일한 것이라 교차테스트를 할 수가 있어서 교차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바로 cpu만 교체를 해도 부팅이 잘 되는 것이었습니다.

 

메인보드를 교체한지 얼마 안됬는데 또 cpu가 고장이 난 것이었습니다.

 

일단 cpu의 경우에는 as기간이 남아있고 사용자과실이 아니라면 제조사에서 불량난 제품을 다른 제품으로 교체를 해준다고 합니다.

 

4세대 cpu니 당연 as는 불가하여 중고 cpu를 인터넷에서 구입하여 교체를 한 결과 잘 작동이 되었습니다.

 

아마 호환이 되는 동일한 세대의 메인보드나 cpu가 없다면 테스트가 어려웠을 겁니다.

 

* 참고로 cpu를 자주 분리했다 장착했다 할 경우에 구찮다면 쿨러를 제대로 장착은 아니더라도 얹혀두어야 합니다.

쿨러가 없이는 cpu는 발열로 인해 1-2분 이내에 온도 급상승(80도에서 100도까지 올라갈수있음)될수 있고, 메인보드에서 각종 소자가 과열되서 고장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을 중단시켜 버리게 되는 안전장치가 있는점 참고하시면 됩니다.

 

혹시 cpu의 과다 발열로 메인보드 작동이 일시 중시되었다면 10-15분 정도 지나서 다시 작동시켜서 될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