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라이터기(ch341a) 사용법(2/2)

컴퓨터 수리기술|2023. 12. 31. 20:43
반응형

지난번 글에 ch341a드라이버와 ch341a 소프트웨어(ch341a programmer)를 설치했으면 이번에는 메인보드에서 빼내거나 sop8 집게를 이용하여 메인보드의 롬칩이 연결이 된 상태에서 설치된 ch341a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킵니다.
 

 
버전에 따라 메뉴가 영어로 나오거나 일부 다를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롬칩의 모델명이 25Q128 이라고 하면 위 그림에서 [25 spi flash]와 [16Mbyte/128Mbit]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구형메인보드는 32Mbit나 16Mbit도 있어서 롬칩 모델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1.먼저 읽기버튼[read]을 클릭하여 메인보드에 연결된 상태의 현재 바이오스를 파일을 읽어옵니다.
(새로 다운받은 롬파일에 문제가 생겼을 때 원래의 롬바이오스로 다시 복구하기 위함)
 
2.저장버튼[save]을 클릭하여 롬바이오스를 파일로 저장합니다.
(파일명과 확장자를 사용자가 임의로 써주고 저장함)
 
3.지우기버튼[erase]을 클릭하여 기존 바이오스를 삭제합니다.
(공백버튼[blank]을 클릭하여 내용을 잘 지웠는지 확인합니다. 기록된 값이 null이 아니라고 메시지가 나오면 공백버튼을 다시한번 클릭하여 기록된 값이 비어있습니다 라고 메시지가 나오면 잘 지워진것으로 보면 됨)
 
4.열기버튼[open]을 클릭하여 다운받은 롬파일을 불러옵니다.
(바이오스 확장자는 *.bin, *.rom파일 인데, 아수스보드는 파일을 수정해야 하고, 애즈락보드는 instant flash파일도 수정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인터넷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기록버튼[write]을 클릭하여 롬칩을 기록합니다.
(상태바가 100%가 될때까지 좀 기다려야 함, 검사버튼[verify]을 클릭하여 기록된 내용이 일치한다고 나오면 됨)
 
오류가 나거나 읽기만 되고 쓰기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므로 인터넷이나 유투브를 이용하여 ch341a의 사용법을 충분히 익힌 후에 사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