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그래픽카드,모니터 해상도 사이의 최적조합 찾아보기(병목현상 알아보기,pc-builds.com)
병목 현상은 영어로 bottleneck 병+목, 해서 말 그대로 병의 몸통은 넓고 위쪽을 좁은 통로로 되어 있어서, 한번에 빠져나오기 어려운 것을 이야기 하며, 그림처럼 차량이 많은데 빠져나오는 출구가 좁을때도 병목현상이라고 합니다.
게임을 하다가 렉이 발생한다거나 게임 중간에 튕김 현상, 화면 프리징(일시정지), 게임화면의 반응이 느린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게임옵션에서 해상도 등을 낮추거나 하는 방법으로 해결될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어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pc 본체의 부품은 최신사양으로 하면 좋지만 가격부담이 있고, 적절한 용도에 맞게 기존그래픽카드 또는 메모리 등의 재활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기존 부품을 재활용하고 나서 이런 이상현상이 발생했는데 위에서 나온 여러가지 복합적인 현상이 일어난다면 원인 찾기가 어려울수 있습니다.
이럴 때 활용하면 좋은 병목현상 계산하는 사이트(https://pc-builds.com/)가 있습니다.
또는 기존부품을 교체하거나 업그레이드 할때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주요 부품에서 사용되는 와트수를 계산하여 적합한 파워서플라이 용량을 고를때도 유용합니다.
그림처럼 계산기/병목 계산기(bottleneck calculator) 메뉴로 들어갑니다.
4번째 메뉴는 파워서플라이(PSU) 계산하는 메뉴입니다. 이번 글에는 병목계산하는 방법만 설명하겠습니다.
프로세서(cpu) 선택하는 화면에서 그림처럼 예를 들어 10세대 i5를 적으면 아래에 여러 리스트가 나오면 그중 i5-10400 를 선택해 보겠습니다.
인텔 10400 이니 앞의 10은 세대를 나타내니 10세대(출시된 시기) 뒤에 400이 성능인데 중급 정도의 게임이 가능한 성능입니다. 지금은 인텔용 12세대가 최신것이지만 여기서는 2020년 정도에 출시된 10세대를 예로 들어서 선택했습니다.
다음은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는 부분으로 나온지 좀 기간이 지난 구형그래픽카드인 gtx 650(6세대 그래픽카드로 나올 당시에는 중급게임이 가능한 성능임) 을 적은후 목록에서 선택해줍니다.
다음은 모니터 해상도를 목로에서 선택해줍니다. 최근에는 2백만(FHD),4백만(QHD),8백만(UHD,4k) 이 있지만 예제로는 2백만 화소인 1920*1080 을 선택했습니다.
모니터 해상도가 올라갈수록 글자나 그림등의 색상이 선명해 지지만 그에 비례해서 고사양의 부품이 필요합니다.
이번에는 선택한 사양을 가지고 계산하기(calculator)를 클릭하면 됩니다.
화면에 보면 GTX 650 오른쪽에 launched Q3 2012라고 출시일도 나오고 TDP가 64와트라고 소비전력도 참고할수 있도록 나오고 있습니다.
출시일은 2012년 3분기에 출시된 제품이고, 64와트를 사용한다는 내용입니다.
[계산하기]를 클릭하면 병목현상이 41%정도 된다고 합니다. 병목현상은 적을수록 좋으니 그다지 좋은 수치는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냥 딱 보아도 그래픽카드는 2012년것이고 cpu는 2020년이니 8년이나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만약에 gtx 650 보다 성능이 높은 gtx 660으로 하면 병목현상이 10%로 나옵니다.
참고로 650과 660은 같은 6세대이지만 성능차이는 상당히 큽니다.
여기만 한글로 나온 것은 아니고 크롬브라우저우측 상단(주소줄 오른쪽아이콘)을 클릭해서 한글로 변환된 화면입니다.(원본이 영문사이트가 한글로 편하게 보시면 됩니다.)
계산결과 화면에서 아래쪽으로 내리면 GTX1060이 10세대인 10400 cpu에 잘 어울리는 그래픽카드라고 친절하게 표시되기도 하며 [병목계산확인]을 누르면 변경된 글카로 계산된 결과값을 다시 보여줍니다.
pc부품사이의 관련성을 전혀 모른다면 이런 사이트의 도움을 받아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그 외의 메모리등 다른 부품들도 모두 관련은 있긴 하지만 여기서는 cpu,그래픽카드,모니터 사이의 관계를 통하여 병목 현상 발생정도를 살펴 보았습니다.
'컴퓨터 수리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팅할때 윈도우 로고 화면에서 멈추는 경우 원인 및 해결방법 알아보기 (0) | 2022.04.17 |
---|---|
가성비 그래픽 카드(price performance videocard)를 찾는방법 (0) | 2022.03.27 |
휴지통에서 삭제된 파일 복구시 알아두면 좋은 팁(ssd 사용시) (0) | 2022.03.06 |
요즘 메인보드에 내장그래픽없는 cpu,구형 그래픽카드 연결했는데 모니터에 인식안될때 원인과 해결방법(구형그래픽카드 uefi로 업데이트하기) (0) | 2022.02.16 |
메인보드에 메모리 추가나 교체할 때 DDR4 호환된다고 아무램이나 고르지 말자(특히 3200mhz 최신램) (0) | 2022.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