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메인보드에(인텔8세대 이후, amd 라이젠시리즈 이후) 윈도우7 설치시 참고할 사항

컴퓨터 수리기술|2024. 6. 1. 10:50
반응형

요즘은 항상 인텔용과 amd용 두개로 나누어서 설명을 해야 하는게, 인텔용과 amd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를수 있기때문입니다. 여기서 다시한번 요약설명하면 cpu는 두 종류가 있는데 간단하게 인텔회사에서 만들면 인텔cpu, amd회사에서 만들면 amd  cpu가 됩니다.

 

그리고 cpu가 인텔용이면 인텔용 메인보드를 구입해야 사용이 가능하고, amd cpu를 사용하려면 amd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를 구입해야 합니다. 세대별로 호환되는 cpu와 메인보드가 있기때문에 세대가 달라질 경우에도 메인보드 소켓종류나 바이오스 업데이트 등을 확인해야 제대로 작동되게 됩니다.

 

그외 저장공간이나 그래픽카드, 메모리 등은 amd에서 작동되는걸 intel용 cpu 에 넣어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세대별도 호환이 되는 부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인텔 1세대부터 4세대까지는 메모리가 ddr3 종류가 규격에 맞고, 6세대 부터는 ddr4 종류가 호환이 되고, amd 라이젠시리즈 부터는 ddr4 메모리 종류가 호환이 되고 등등

*참고로 얼마전부터는 ddr5메모리가 출시되어 ddr5만 지원하는 메인보드도 있습니다

 

그럼 운영체제인 윈도우는 어디서 만드냐 궁금할수도 있고 당연히 이건 알수도 있는 분들이 많은데 마이크로소프트(줄여서 MS)에서 만듭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요즘 컴퓨터에도 윈도우7을 설치하면 그냥 되지 않을까 생각할수도 있지만,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에 가서 요즘에 나오는 메인보드용 장치 드라이브를 다운받으려고 하면 윈도우10용은 있지만 윈도우7용은 별도로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asus prime h610m-k D4(상세스펙에 보면 LGA 1700소켓으로 12세대와 호환된다고 나와 있음)라는 모델명으로 아수스 홈페이지에서 모델명으로 검색하여 드라이브를 다운로드 하는 페이지에 가보면 윈도우10과 윈도우11용 드라이버만 있고 윈도우7용은 없습니다.

윈도우7용이 있다면 당연히 윈도우7 설치가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윈도우7이 설치는 되더라고 장치드라이버를 설치하지 못하게 되어 일부 기능에 문제가 생겨서 작동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왜 요즘 컴퓨터에 윈도우7을 사용해야 되는가는 기존에 윈도우7에서 작동되는 게임이나 기타 업무용 소프트웨어는 윈도우10에서 작동이 되지 않거나 작동은 되더라도 어딘가 윈도우7에서 사용할때 보다는 순탄하게 돌아가지 않는 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윈도우7을 사용하던 구형pc의 환경에서 만든 게임이나 업무용 또는 산업용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윈도우7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윈도우7의 32비트 환경에서 만들어진 경우도 있을수 있는데 요즘은 대부분 윈도우10이나 윈도우11의 64비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저런 문제가 발생할수 있어서 편하게 윈도우7이 설치가 되면 그것으로 사용을 하는 것입니다. 기존 게임이나 소프트웨어 제조사의 경우는 현재도 잘 운영되는 곳도 있을수 있지만 폐업한 경우도 있을수 있고,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서 사용하려면 비용이 수백만원 이상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을수 있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도 있어서 윈도우7을 어쩔수 없시 사용해야 되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윈도우7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게임:서든어택, 미르의 전설, 고전게임 등 윈도우7에서 작동이 원활한 경우

특정 응용 프로그램:제조한 회사가 문을 닫았거나 업데이트 하는 비용이 비싼 경우

 

1.인텔 컴퓨터

 

인텔은 1세대부터 요즘 14세대까지 나오고 있는데 1세대부터(1세대는 출시일자가 대략 2010년 전후 정도 됨) 7세대까지는 윈도우7을 설치시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드라이버를 제공 하는데 8세대 이후로는 공식적으로 지원을 안하는 경우도 있어서 비공식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인텔cpu 세대에 관련된 내용은 구글 검색에서 [인텔cpu] 로 검색하면 아래 링크처럼 나무위키가 나오는데 너무 자세하게 나오는 바람에 어떤걸 봐야하는지 당황할수 있습니다

 

컴퓨터는 노트북용(이게 나무위키에서는 모바일용으로 표시되어 있는 종류 같음), 서버용(24시간 켜두며 1년에 한두번 전기검사 등 할때만 잠깐껏다가 켜는 용도로 호환되는 부품 모두가 고가로 특이함),데스크탑용(이게 일반적인 게임용pc로 대부분 사용하는 컴퓨터로 생각하면 됨) 등으로 크게 나누어져 있으니 다 보면 머리아프니 자신이 관심있게 보는 분야만 보면 될거 같습니다.

 

https://namu.wiki/w/%EC%9D%B8%ED%85%94%20%EC%BD%94%EC%96%B4%20i%20%EC%8B%9C%EB%A6%AC%EC%A6%88

 

인텔 코어 i 시리즈

인텔 의 CPU 제품군. 인텔 코어2 시리즈 의 후속으로, 2008년 11월 18일에 정식 출시된 코어 i7-

namu.wiki

 

-인텔 8세대,9세대 컴퓨터에 윈도우7 설치시 확인할 사항

usb 드라이버

H310 R2.0 / B365 / Z370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윈도우7용 드라이버가 있음

H310 / B360 / H370 / Z390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는 비공식 드라이버가 있다고 합니다.

 

* 칩셋 확인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H310M E PRO V21 STCOM 이런 모델의 메인보드가 있다고 하면 여기에서 h310이 칩셋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

윈도우7용 내장형 그래픽 드라이버는 없으며, 외장형 그래픽이 있으면 윈도우7 설치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버

리얼텍 랜카드는 지원하며 리얼텍이 아니라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는 외장형 랜카드나 usb형 랜카드를 별도 구입하여 사용해 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인텔 10세대,11세대 컴퓨터에 윈도우7 설치시 확인할 사항

H410 / B460 / H470 / Z490 칩셋을 비공식 드라이버가 있다고 합니다.

 

 

2.AMD컴퓨터

AMD는 라이젠시리즈가 나오면서부터 가성비가 좋아서 amd cpu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점차 많아지게 됬다고 합니다.

라이젠 시리즈는 1세대(출시일자가 대략 2017년 전후 정도)부터 현재 5세대까지 나와 있는거 같습니다.

 

amd용 cpu에 대해 자세히 보려면 구글검색에서 [amd 라이젠]로 검색하면 언제 나온지부터 시작해서 인텔처럼 세대별로 구분해서 너무나 상세하게 나옵니다.

https://namu.wiki/w/AMD%20RYZEN%20%EC%8B%9C%EB%A6%AC%EC%A6%88

 

AMD RYZEN 시리즈

2016년 12월 13일에 브랜드 이름이 처음 알려진 후, 2017년 3월 2일 대한민국( UTC+9 ) 기준 20

namu.wiki

 

-AMD라이젠 시리즈 컴퓨터에 윈도우7 설치시 확인할 사항

A320 / B350 / X370:윈도우7용 정식드라이버가 있다고 합니다.

B450 / X470:윈도우7용 정식드라이버가 있다고 합니다.

B550:윈도우7용 정식드라이버가 있다고 합니다.

 

* 예를 들어 ASUS 프라임 A320M-K 인 모델명의 메인보드라면 A320 이 칩셋입니다.

 

반응형

댓글()